고용산재 보험료 신고하기
* 보수총액신고서
- 사무실 직원 : 고용보험 + 산재보험
- 현장직 상용직 직원 : 고용보험
- 현장직 상용직 직원 본사 내 근무 시 일할계산 : 산재보험
- 일용직(0번 신고) : 고용보험+산재보험
* 보험료 신고
- 현장직 상용직 직원 : 산재보험
- 일용직 현장 근로자 : 고용보험 + 산재보험
보수총액 신고를 하였다면, 이제 남은건 '보험료신고'입니다.
보험료 신고는 현장근무자에대한 급여신고를 하는 건데요.
보험료 신고하기 위한 자료 취합
세무사사무실에서 직원전체급여 자료를 받아서 현장, 사무실, 현장+내근직 분리를 해서 정리를 합니다.
일용직 직원이 급여도 월별로 정리하고, 65세 이상에 해당하는 사람의 자료와 분리를 해놓습니다.
임원, 상용근로자 중 현장, 사무실 근로자, 일용직근로자를 모두 정리를 해둡니다.
보험료 신고는 일용근로자의 고용보험, 산재보험 신고와, 상용직 현장근무자에 대한 산재보험을 신고하기 때문에 이렇게 자료를 취합해서 월별로 정리를 해둡니다.
고용보험은 실업보수총액가, 고직 보수총액을 나누는데요.
실업 보수총액은 65세 이상인 근로자는 제외를 하고 모두 기입하면 되고요.
고직 보수총액은 모든 근로자의 급여를 정리해 둡니다.
정리된 자료를 가지고 확정보험료 작성을 하는데요.
이렇게 정리가 끝났으면, 서면 신고나 전자신고를 하면 되는데요. 위와 같은 표는 엑셀에서 제가 미리 만들어 놓은 것이라 이렇게 기입 완료 하고, 전자신고를 합니다.
고용산재토탈서비스로 전자신고하기
고용산재 토탈서비스에 접속 후 보험료 신고서를 클릭합니다.
고용보험, 산재보험 체크 후 사업장관리번호를 선택합니다.(6번)
확정보험료 기입하는 칸이 나옵니다. 보험요율과, 신고액, 납부액은 자동으로 나오며 우리는 보수총액만 기입하면 나머지는 자동 계산됩니다.
미리 작성해 둔 파일을 보고, 산재보험, 고용보험의 실업급여와 고용안정직업능력개발 금액을 기입합니다.
확정보험료 산정기초 보수 총액은 월별 인원과 보수총액을 기입합니다. 미리 자료 취합해 둔 자료를 보며 똑같이 기입하면 자동으로 합계 계산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개산보험료는 2023년 보험을 기준으로 2024년 보험료를 미리 산정하는 단계인데요.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2023 확정보험료 그대로 신고하시면 되고요, 30% 이상 감소해서 신고할 경우는 사유를 기재하고 금액을 낮춰서 기입하면 됩니다.
이제 저장 후 전송만 하면 끝!!!!
늘 어렵게만 느껴졌던 고용. 산재보험보험료 신고.. 이제~ 올해 마무리 지었네요.
정리!!!
우리가 할 것은 근로자의 월별 급여 취합과, 총합계, 65세 이상과 아닌 것을 구분하여 정리해 두면 됩니다.
'슬기로운 직장생활 > 4대보험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건강보험료 상한액 및 장기요양보험료율 변경 (0) | 2024.04.24 |
---|---|
건강보험, 연금보험 자동이체 신청하기 (0) | 2024.04.19 |
고용·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하기(관리번호 0번) (0) | 2024.03.15 |
건설업, 제조업 고용/산재 보수총액신고/보험료신고 (0) | 2024.03.14 |
근로복지공단 '장해급여사정서' 요청 (0) | 2024.02.21 |
댓글